가족 3

[꿀팁] 가족 간 차용 시, 세금 납부 (원천 징수 @ 위택스)

"[꿀팁] 가족 간 차용 시, 세금 납부 (원천 징수 @ 홈택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족 간 차용금에 대해 발생한 이자 (국세) 25%를 홈택스에 납부했다면 다음으로 2.5%를 위택스에 지방세로 납부해야 한다. 이자에 대한 세금 (원천세) 을 두 군데에 각각 납부해야 한다. - 국세 : 25% @ 홈택스 - 지방세: 2.5% @ 위택스 위택스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메인 화면에서 특별 징수를 클릭한다. 다음 화면에서 "단건 납부"를 클릭한다. 이제 아래와 같이 또 다른 창이 열리면서 차용인의 주민번호, 성명, 전화번호, 주소 등 기본 정보를 입력하게 나온다. 하단에는 소득 지급월과 해당 이자 세금이 귀속되는 년월을 입력한다. 다음으로는 납부 세액에 대해 입력한다. 인원은 가족 중 돈을 빌리게 된 사..

경제 2022.03.03

[꿀팁] 가족 간 차용 시, 이자율 산정

앞에 작성한 블로그 글에서 연 이자율을 2.4%로 산정하여 가족 간 차용 시, 세금 납부 방법에 대해 소개했었다. 이자율 시행 규칙이 4.6%이나 필자의 경우 별도 세무 상담을 통해 당시 은행 금리와 유사하게 가족 간 차용 이자율을 정하고, 차용증을 작성하고 매월 꼬박꼬박 이자 납입과 세금 납부를 했었다. ​ 이번 글에서는 한 가지 더 언급하고자 한다. ​ ​ "연 4.6% 외에 적정 이자율을 정했을 때, 두 이자율 각각 연 이자 합계를 계산했을 때 두 금액의 차가 1,000만 원 이하 인가이다." ​ 이 부분도 애초 적정 이자율에 대해 알아볼 때, 유튜브와 인터넷 글에서 여러 번 봤었던 내용으로, 1,000만 원 이하의 경우 증여로 보지 않는다고 하여 문제가 안 된다고 했던 내용이다. 아래 계산과 같이..

경제 2022.02.27

[꿀팁] 가족 간 차용 시, 차용증 작성 방법

가족 간 금전 거래 시 증여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차용증 작성이 필수다. 차용증 양식의 경우, 인터넷상에 수많은 양식이 있기 때문에 공통적으로 기입되는 항목들을 참조하여 차용증을 만들어 보자. ​ 차용증 항목을 살펴보면 이자율의 경우, 특수 관계인 간의 거래이기 때문에 4.6%이나 필자의 경우에는 당시 은행으로부터 받은 대출의 이자율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이자율 설정에 대해서는 인터넷 및 유튜브 상의 다양한 해석이 있기 때문에 이를 참조하자. 차용증 작성 후에는 공증을 받거나 내용 증명으로 가족 간 금전 거래 증명을 하는 방법이 있다. 공증이 가장 확실한 방법일 거 같아 비용을 알아봤으나, 적지 않은 금액이라 우체국에 내용 증명을 받기로 했다. 우체국에는 미리 작성한 차용증의 사본까지 준비해 가야 한다...

경제 2022.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