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슐린 4

[건강] 당을 급격하게 올리는 정제 탄수화물 복합당 (KBS 생로병사의 비밀)

탄수화물은 구조에 따라 단순하기도 복잡하기도 하다. 하나의 분자로 이루어진 게 단당류, 포도당과 과당, 갈락토오스가 단당류에 속한다. 이 중 두 개가 결합하면 이당류가 된다. 젖당, 엿당, 설탕이 해당된다. 단당류가 세 개 이상 결합하면 복합당인데, 3개에서 10개까지 연결된 것이 올리고당, 10개 이상 단당류를 가지고 있으면 다당류로 대표적으로 전분이 있다. 문제는 복합당이 정제와 조리 과정을 거치면서 변한다는 것이다. 사슬이 느슨해지고 끊어지면서 소화 흡수가 빨라져서 빵, 떡, 국수 같은 정제된 복합당이 우리 몸속에 들어가 단순당처럼 작용을 하는 것이다. 갈아져 있는 밀가루로 빵을 만들고, 떡도 빻아서 찌는 거라 모두 소화 흡수가 잘 돼서 혈당이 일시적으로 올라갈 수 있는 당지수가 높은 데, 쌀로 만..

건강 2022.05.28

[명의] 비만 : 오해와 진실2, 식욕억제호르몬과 치료 (EBS)

식욕과 시상하부 우리는 왜 배가 불러도 먹는 것을 멈추지 못하는 것일까? 입으로 섭취한 음식은 식도를 타고 위로 내려간다. 그리고 위에서 일부 소화된 음식은 소장으로 향하는데 이때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 혈당 수치를 감지한다. 소장에서는 식욕 억제 호르몬이 분비된다. 지방 조직에서 이제 그만 먹으라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이 분비된다. 이 호르몬들은 미주 신경을 자극하게 되고 이 신호가 뇌의 시상하부로 전달된다. 그 신호에 따라 뇌에서 배고픔을 느끼게 하는 외측핵, 포만감을 느끼게 하면 내측핵이 작동한다. 만약 두 중추 중 하나라도 문제가 생기면 포만감을 느끼지 못하고 계속 먹게 되는 것이다. 렙틴과 렙틴 수용체 비만 치료에 있어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는 것이 지방 조직에서 분비되는 렙틴이다. (그림..

건강 2022.04.10

[명의] 당뇨 : 소리 없는 살인자, 3대 대사성 질환 (EBS)

당뇨가 있는 경우 발에 상처가 생기면 아무리 작은 상처라도 세균들이 깊이 파고 들어가서 뼈 조직까지 침범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에는 혈관 안으로 들어가서 온몸에 세균들이 떠돌아다니는 패혈증이 와서 목숨이 위태로울 수도 있다. 당뇨병이란? 우리가 먹은 음식물은 소화가 될 때 에너지원인 포도당으로 변화하는데, 몸이 포도당을 이용하려면 인슐린이 필요하다. 인슐린은 세포막의 인슐린 수용체와 결합해 혈액 속의 포도당을 세포 속으로 밀어 넣어 에너지원이 되도록 돕는다. 하지만, 인슐린이 제 기능을 못할 경우 인슐린의 분비량이 줄어들면서 포도당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지 못해 결국 혈액 안에 넘치는 고혈당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혈관 벽이 딱딱해지고 혈관들이 막혀 각종 합병증이 생기게 된다. 고혈당에 오래 노출되면 산..

건강 2022.04.06

[명의] 고지혈증: 끈적한 피, 3대 대사성 질환 (EBS)

고지혈증은 고혈압, 고혈당과 함께 3대 대사성 질환으로 꼽힌다. 고지혈증은 어떤 질병이며, 얼마나 위험한 질병인지 알아보자. 고지혈증이란? 혈액 내에 지방 성분이 정상보다 많아지면 동맥 혈관 벽에 지방이 쌓여 염증이 생긴다. 또, 혈관 벽이 좁아지고 막히기도 하는데 그로 인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뇌졸중이나 뇌경색 같은 질환이 나타나기도 한다. 고지혈의 두 가지 종류 : LDL과 HDL 지방 성분으로 이루어진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에서 세포막이나 호르몬을 구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콜레스테롤의 30%는 음식 섭취를 통해 이루어지고 나머지 70%는 간에서 만들어진다. 그렇게 만들어진 콜레스테롤은 지방 알갱이에 실려 혈액을 떠다니는데 콜레스테롤은 LDL과 HDL로 나뉜다. LDL 알갱이는 간에서 만든 콜레..

건강 2022.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