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실수는 명백해 보이지만, 그 판단은 사후 판단일 뿐이다. 미리 알 수는 없었다."
"그는 지나치게 단순한 이 성공 이야기에서 지나치게 많은 것을 배우려 한다. 서사 오류에 빠진 경우다."
"그는 그 회사가 경영이 부실하다고 말하지만 증거는 없다. 그가 아는 것이라고는 주가가 떨어졌다는 사실뿐이다. 사후 판단과 후광 효과가 합쳐진 결과 편향이다."
"결과 편향에 빠지지 말자. 이번 결정은 비록 결과는 좋았지만 어리석은 결정이었다."
서사 오류 Narrative fallacy
인간은 과거를 설명하는 조잡한 이야기를 꾸며놓고 그것을 진짜라 믿으며 자신을 끊임없이 속인다.
실제로 일어난 중요한 사건에는 선택이 들어간 때가 많다는 사실은 결과에서 차지하는 실력의 역할을 과장하고 운의 역할을 축소하려는 유혹을 더욱 부채질한다. 중요한 결정이 모두 좋은 결과로 이어진 탓에 거의 완벽한 혜안이 발휘된 것만 같지만, 불운이 끼어들었다면 성공의 여러 단계 중 어느 하나를 망쳤을 수도 있다.
가지고 있는 제한된 정보를 마치 그것이 전부인 양 받아들이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사람들은 가지고 있는 정보로 최상의 이야기를 만들고, 그 이야기가 괜찮다 싶으면 믿어버린다. 모순적이지만 아는 것이 별로 없을 때, 그림을 맞출 조각이 적을 때, 오히려 조리 있는 이야기를 만들기가 더 쉽다. 세상은 순리대로 돌아간다는 편안한 확신은 자신의 무지를 외면하는 무한에 가까운 능력에서 나온다.
사후 판단 편향 Hindsight bias
과거를 두고 서사를 만드는 인간의 머리는 논리를 짜 맞추는 기관이다. 예상치 못한 일이 일어나면 우리는 즉시 세계관을 조정해 그 놀라운 상황을 수용한다.
인간의 정신은 일반적으로 과거의 지식이나 바뀐 신념을 재구성하는 능력이 불완전하다는 한계가 있다. 일단 세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기 시작하면, 그 전에는 어떤 생각을 했었는지 기억하는 능력이 빠른 속도로 떨어진다.
자신의 과거 생각을 실제로 일어난 상황에 맞게 수정하는 성향은 막강한 인지 착각을 만들어낸다.
사후 판단 편향은 의사 결정자들을 평가할 때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 관찰자들은 결정의 질을 평가할 때 결정 과정의 타당성은 따지지 않고 결과가 좋았는지 나빴는지를 따진다.
성공 제조법
운은 큰 몫을 하기 때문에 성공을 관찰해서 지도력과 경영의 질을 추론하기는 어렵다. 어떤 최고경영자가 훌륭한 비전과 탁월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미리 정확하게 안다 한들 그 회사의 앞으로의 실적을 동전을 던져 판가름할 때보다 더 정확히 예견하기는 여전히 불가능할 것이다.
사업 흥망에 관한 이야기는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원하는 것을 제공해 독자의 공감을 얻는다. 분명한 원인을 지목하면서 운의 결정적 역할과 회귀의 불가피성은 외면하는 단순한 성패의 메시지가 그것이다. 이런 이야기는 사실을 이해했다는 착각을 꾸준히 유도하면서, 일단 믿고 보는 독자들에게 지속적 가치가 거의 없는 교훈을 전달한다.
어제 본 유튜브에서 홍춘욱 박사는 추천하지 않는 책 종류로서 성공한 기업 스토리라고 했다. 소규모의 성공이라면 모르지만 큰 성공이 실력으로만 되었으리라는 것은 어려울뿐더러 일반인이 동일하게 따라서 할 수 있지 않다는 투였다. 아마 위 이해 착각 챕터를 바탕으로 언급된 얘기가 아닌가 싶다.
주식을 하는 데 있어 기업의 가치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하여 투자한다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물론 정말 타고난 현자인 경우 (혹은 연속되는 운에 의해) 계속적인 투자 성공이 큰 부를 가져다줬을 수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일반인에게는 기업 가치 분석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령 기업 가치 분석을 통해 유망한 기업 발굴을 하여 투자 성공을 거두었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인 성공을 거두기는 어려울 것이다. (선정 기업이 어떠한 외부적 환경에 의해 실패할 경우)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뷰] #21. 직관 대 공식_생각에 관한 생각 (대니얼 카너먼) (0) | 2022.03.31 |
---|---|
[리뷰] #20. 타당성 착각_생각에 관한 생각 (대니얼 카너먼) (0) | 2022.03.29 |
[꿀팁] 중고 서적 판매 (@예스24) (0) | 2022.03.21 |
[꿀팁] 중고 서적 판매 (@알라딘) (0) | 2022.03.21 |
[꿀팁] 종합소득세에 대한 이해 (0) | 2022.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