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항우울제 종류와 효능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우울증은 보통 2가지 형태로 나뉘고, 사용 약물에도 차이가 있다. 먼저, 불안/초조를 특징으로 하는 타입은 진정(sedation)을 목표로 하며 NaSSA, TCA를 사용한다. 반면, 무기력을 호소하지만 감정 반응이 있는 타입의 경우 활력(activation)을 목표로 SSRI, SNRI, DNRI를 사용한다.


TCA (Tricyclic Antidepressant), 삼환계 항우울제
구조 속에 벤젠고리를 포함한 환상 구조가 3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우울제로, 과거 우울증 치료 주력 약물이었다. 다양한 활성아민에 작용하므로 부작용도 다양한데, 항콜린성 부작용이 특징으로 입이 마르고, 배뇨장애, 변비 등을 동반한다. 노인 환자 중, 심질환이 있는 경우 특별히 주의가 필요한데, 이는 TCA가 노르에피네프린에도 작용해 과다복용 시 심혈관계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혈압을 체크하며 사용해야 한다. 삼차 아민의 경우 부작용이 좀 더 심하기에 노인에게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부작용이 적은 nortriptyline과 desipramine 같은 이차 아민이 우선 선택될 수 있는 TCA로 추천된다.
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nitor),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항우울 작용이 있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세로토닌 양을 늘려 작용을 증강시키는 약제이다. TCA의 부작용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했고 이후 새로운 약물이 쏟아져 나왔다. SSRI와 TCA의 효과는 거의 같다고 보고되고 있고 1일 1회 투약으로 약물에 대한 순응도를 높였다. SSRI 계열 내 약물은 효과와 부작용이 거의 같다.
SSRI 계열의 최초는 1988년 출시한 프로작이다. 한때 커피보다 안전하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happy drug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2001년 특허가 만료되며 복제약들이 출시됐다. SSRI는 우울증 외에도 강박, 공황, 범불안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사회 불안증으로 그 영역을 넓히고 있다. 하지만 드물지만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남용은 금지해야 한다. 오심, 구토, 설사 같은 흔한 소화기 부작용뿐 아니라 불면증, 진정, 복용 초기 불안, 경련, 발한, 빈맥, 운동실조증, 유즙분비, 추체외로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가장 대표적 부작용으로 성욕저하, 사정 불가, 오르가즘 감소 같은 성기능 장애가 있다. 이 경우, 성기능 장애로 인해 약물 순응도를 줄일 수 있기에 세로토닌과 무관한 DNRI로 전환하거나, 성기능 촉진제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SSRI 약의 종류
1. 파록세틴
: 항콜린성 효과를 갖는 M리셉터에 작용을 하여 불면이나 불안감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동시에 이 M리셉터가 입마름이나 변비를 일으킬 수 있다.
2. 플록세틴
: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제로 '프로작'이 대표 상품명이다. 노르에피네프린에 대한 작용이 있어 의욕을 끌어올리는 효과는 강하지만, 불면이나 초조감의 악화를 유발할 수 있다.

3. 설트랄린
: 도파민 수용체에 영향을 줘서 흥미의 감소나 쾌감의 감소 같은 우울증상을 호전시키는데 효과가 있지만, 불면이나 초조감 같은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4. 시탈로프람/에시탈로프람
: 거의 세로토닌에만 작용을 한다. 특히 에시탈로프람은 거의 100% 세로토닌에만 작용을 하는데 이로 인해 다른 SSRI에 비해 깨끗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구역이나 성적인 부분의 부작용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남성의 경우, 발기가 잘 안 된다거나, 사정 지연이 발생할 수 있고, 여성의 경우 쾌감을 느끼지 못할 수 있다. 성적인 부작용이 불편한 경우 세로토닌에는 작용하지 않는 항우울제로 바꿀 수 있는데 노르에피네프린과 도파민에만 작용하는 NDRI 혹은 DNRI라는 약이 있다.
NDRI/DNRI
타 항우울제 복용으로 성기능 장애 및 소화기 부작용을 겪고 있는 환자에게 대체 약물이 될 수 있다. 노르에피네프린과 도파민에 작용하기 때문에 흥미나 쾌감, 의욕의 증가에 영향을 주고, 인지 기능 개선 등의 효과가 뛰어나서 특히나 무기력한 상태가 심한 경우 선택하는 편이다. 부작용으로는 두통, 과다복용에 따른 경련/발작, 불면증이 있다. Bupropion은 금연 치료제로도 사용 중이다.
SNRI (Serotonin-noradrenaline reuptake inhibitor) 세로토닌/노르아드레날린 재흡수 억제제
SNRI는 행복감을 고양시키는 "세로토닌"과 각성/흥분을 일으키는 "노르아드레날린"의 농도를 높여 우울증을 개선한다. 노르아드레날린은 사고력이나 집중력,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관련이 있기에, 특히 스트레스에 취약한 불안이 높은 경우에 효과를 얻는다고 알려져 있다. 효능 및 부작용은 대체로 SSRI와 비슷하나 작용 발현이 빠른 것이 특징이다. Venlafaxine은 용량에 따라 작용 기전이 달라진다. 저용량에서는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방해하는 작용을 하나, 용량을 높이면 노르아드레날린과 도파민에까지 영향을 준다. 또한 용량 증가에 따라 고혈압을 일으킬 수 있어, 기저 혈압이 높은 노인 환자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 벤라팍신
: '이펙사'라는 상품명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약의 경우 범불안장애라고 해서 특별히 이유가 없는데도 굉장히 많은 것들을 걱정하는 경우에 대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2. 둘록세틴
: 벤라팍신보다는 노어에피네프린에 대한 영향이 더 큰 편이다. 그래서 만성 통증을 동반한 우울이나 불안 장애, 신체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벤라팍신, 둘록세틴 모두 불안을 감소시켜 줄 수 있지만, 불면, 초조감을 악화시킬 수 있다. 구역질 같은 부작용도 상대적으로 큰 편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데스벤라팍신이라고 해서 벤라팍신과 효과는 비슷한데,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덜한 약물이 개발되어서 처방되고 있다.
NaSSA
상대적으로 최근에 개발된 NaSSA(Noradrenergic and specific serotonergic antidepressant)는 세로토닌의 특정 아형만 차단하므로 SSRI의 일반적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 노어에피네프린과 특정 세로토닌 수용체에 한정적으로 작용하는 약이다. 대표적으로 멀타자핀이라는 약이 있는데, 세로토닌 수용체 중에서 항우울 효과가 있는 것에만 특징적으로 작용을 하고 소화계통에는 작용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약의 가장 큰 특징은 잠이 많이 온다는 것이다. 특별히 불면이 심한 환자의 경우 효과가 좋은 편이다. 그리고 입맛이 좋아져 살이 찌게 되는 문제가 있다. 우울로 인해 체중 감소가 나타난 환자의 경우 효과를 볼 수 있다.

* 메디칼 옵서버(http://www.monews.co.kr)와 유튜브 '뇌부자들'을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